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JavaScript
- SQL
- JSON
- Java
- Github
- https
- CS
- Entity
- API
- vue3
- REST API
- pls-00103
- Spring
- error
- react
- bean
- 개발자기록
- autowired
- DTO
- Spring Framework
- 뷰
- 어노테이션
- GIT
- vue
- framework
- 깃허브에러
- spring boot
- oracle
- HTTP
- 프레임워크
- Today
- Total
목록bean (2)
o-ohi-code 님의 블로그
@Bean@Configuration 이 붙은 클래스 안에서 사용된다.해당 메서드가 반환되는 객체를 Spring IoC 컨테이너에 Bean 으로 등록을 해준다.즉, 우리가 new 키워드로 직접 객체를 생성하는 대신, Spring 이 대신 생성하고 관리하도록 만드는 방법 이다.이렇게 하면 @Autowired 를 통해 (의존성 주입) 을 할 수 있게 된다. @CorssOrign(*)다른 도메인에서 오는 HTTP 요청을 허용할 수 있게 해주는 어노테이션이다.기본적으로 브라우저는 출처(origin)가 다른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걸 제한한다. ex) http:localhost:3000 (react 프론트엔드) -> http://localhost:8080 (Spring 백엔드) 요청 시 CORS 문제가 발생한다.*C..
🤔 Bean 이란?스프링이 "관리하는 객체(인스턴스)" 를 말한다. 그럼 Bean은 언제 생성 될까?@Component, @Service, @Repository, @Controller 붙이면 스프링이 시작 시 자동으로 Bean 으로 등록이 된다. (자동)@Configuration + @Bean 사용 개발자가 수동으로 등록 가능 @Componentpublic class Engine {}// 자동으로 스프링이 Engine 객체를 미리 만들어 놓고 관리한다.// 이렇게 Bean 등록을 한다면 다른 클래스에서 @Autowired로 이 Engine 객체를 꺼내 쓸 수 있다. Bean을 사용하는 이유✔ 의존성 관리 : 필요한 객체를 주입받기만 하면 됨 의존성이란 - 어떤 객체가 다른 객체를 필요로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