o-ohi-code 님의 블로그

[Spring] Bean 관리 본문

카테고리 없음

[Spring] Bean 관리

o-ohi-code 2025. 4. 4. 15:33

🤔 Bean 이란?

스프링이 "관리하는 객체(인스턴스)" 를 말한다.

 

그럼 Bean은 언제 생성 될까?

@Component, @Service, @Repository, @Controller 붙이면 
  스프링이 시작 시 자동으로 Bean 으로 등록이 된다. (자동)

@Configuration + @Bean 사용
  개발자가 수동으로 등록 가능

 

@Component
public class Engine {
}
// 자동으로 스프링이 Engine 객체를 미리 만들어 놓고 관리한다.
// 이렇게 Bean 등록을 한다면 다른 클래스에서 @Autowired로 이 Engine 객체를 꺼내 쓸 수 있다.

 

Bean을 사용하는 이유

✔ 의존성 관리 : 필요한 객체를 주입받기만 하면 됨
   의존성이란
     - 어떤 객체가 다른 객체를 필요로 하는 관계를 [의존성] 이라고 한다.
   
   의존성 주입은
     - 객체가 직접 의존 대상을 만드는게 아닌 X, 외부(스프링) 이 대신 만들어서 넣어주는 것을 말한다.

✔ 재사용 가능 :
하나만 만들어서 계속 사용 가능(싱글톤 패턴)
테스트 쉬움 : Mock 객체 주입 가능
결합도 낮음 : 객체 간 의존이 약해짐 (유지보수 쉬움)
확장성 높음 : 설정만 바꾸면 구현체 쉽게 교체 가능

Bean 관리의 핵심 원리

스프링이 애플리케이션 시작할 때
  - 클래스들을 스캔 Bean 으로 등록
  - 필요한 곳에 주입해주며
  - 생명주기(생성-초기화-소멸)까지 관리해준다.